부동산 매물 검색 / 아파트 매매 전 공급 및 미분양 물량 확인 방법
**지역조사 시 몇 가지 조건들을 보고 저희는 내가 살 집을 선택하게 됩니다. 주로 확인하는 부분들은 (직주근접, 교통량, 학군, 환경)등. 이 외에도 꼭 확인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는데요, 바로 공급입니다. 공급은 변동성에 대한 리스크를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내 집마련/투자 등을 위한 지역이라면 신중히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.
1. 부동산 매물 검색시 아파트 공급 확인
1-1. 공급의 의미
- 공급 = 입주물량(분양완료) + 미분양
분양완료된 물량과 미분양된 물량을 모두 합쳐서 통계를 낸 자료가 공급물량 자료가 됩니다.
입주물량이란 분양을 완료하고 입주를 기다리는 아파트입니다.
미분양이란 분양시즌이 지나가고 분양되지 못한 아파트를 말합니다. 즉, 공급은 단순하게 세대가 많다/적다로 보는 것이 아니라 [지역/인구]등에 따라 옵션을 주고 다르게 보아야 합니다.
해당지역의 인구, 직장 대비 적당한가 많은가를 생각해봐야합니다.
입주물량 = 인구수 * 0.005
2. 아파트 공급 순서
2-1. 인허가-착공-분양-준공
- 인가/허가
인허가의 의미에 대해 설명한 글을 확인 하신 후 부동산 매물의 공급 및 미분양에 대해 생각해보시면 주제가 좀 더 쉽게 다가올 거라 생각됩니다.
2023.06.29 - [동기부여/성공을위한 공식] - 인가 허가 신고 등록 등 용어 풀이 인허가 차이
인가 허가 신고 등록 등 용어 풀이 인허가 차이
이번포스팅에서는 법률용어의 강도(?)와 의의에 대해 정의 해볼게! 간단 정리된 그림파일 부터 첨부 해볼게 이것만 봐도 법률 좀 훑어보던 형님들에겐 아마 쉽게 해석이 될 표라고 생각돼. 글로
6aoff.tistory.com
'인허가'란 내가 시행하려고 하는 사업계획에 대해서 공공기관(지자체)의 승인을 받는 것입니다.
부동산(아파트/주택) 공급의 선행지표로 볼 수 있는데 분양시기는 승인이 나느냐 안 나느냐, 사업자와 지자체 간의 협의사항, 법적문제 등 다양한 이슈들로 인해 변동성이 있습니다. 하지만 굵은 줄기의 사업이 일단 구도가 잡히면 절차대로 진행됩니다. 특히, 지방의 벌판에 아파트를 올린다면 금세 준공이 날 것이고 재개발/재건축 등의 이슈로 공사를 시작하는 곳이라면 최소 10년은 보아야 할 것입니다.
- 착공
말 그대로 공사의 시작입니다.
- 분양
인가/허가를 모두 승인받은 주택입니다. 대한민국은 아시다시피 선분양제도로 움직이고 있습니다.
- 준공
한 단지의 아파트가 다 지어진 것을 보고 준공이 완료되었다고는 말하지않습니다.
일단, 아파트가 지어지면 '준공'승인 요청을 한 후 지자체로부터의 준공승인을 시공사에서 받아내야지만이 정식적으로 입주가 가능한 아파트가 된 것입니다.
하자/지침과 다른 설계/설계도면과 다른 설계 등 준공내용에서 다른 부분이 있다면 시정명령을 받게 되고 제대로 설계 및 시공이 이루어졌을 때 준공승인이 되게 됩니다.
3. 미분양 물량과 공급물량
3-1. 미분양 물량이란
- 미분양
미분양 물량은 아파트 준공이 끝나기 전 계약이 되지 않는다면 세대수 만큼 거주자가 없다는 말이되고, 그것이 바로 미분양 물량으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. 세대가 전입이 되지않는 곳은 악성 미분양으로 남게 되므로 입지조건을 잘 따져가며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미분양 물량 확인 방법
통계자료 확인을 통해서 간단하게 알아볼 수 있습니다.
아래의 사이트를 통해서 확인하시면 됩니다.
https://www.reb.or.kr/reb/main.do
한국부동산원
한국부동산원 홈페이지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. 부동산 조사, 관리&공시, 통계 전문기관.
www.reb.or.kr
- 공급물량
최근 부동산 관련 다채로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많이 출시되어 있습니다.
간단한 회원가입만 하면 무료로 이용이 가능한 것이 많으니 참고부탁드립니다.
- 부동산지인 https://aptgin.com/home/gin01/gin0101
- 호갱노노 https://hogangnono.com/
- 아실(아파트실거래가) https://asil.kr/asil/index.jsp
- 리치고 https://m.richgo.ai/pc
3-2. 부동산 매물 검색 시 공급물량과 미분양 물량을 토대로 입지조건 확인하는 방법
지역별 공급물량 확인
부동산 지인 사이트를 통해 연도별, 월별 공급량을 확인해 둡니다.
마찬가지로 부동산 지인 사이트에서 지역으로의 인구이동, 전출입 및 세대증감률을 확인합니다.
인구이동지역의 공급률을 확인하여 분석합니다.
4. 아파트 분양 및 미분양 매물 확인 시 조사해야 할 것들
아파트 매물이 공급되는 지역 / 입주시기 / 평형 / 매매가 등으로 단순하게 미분양물량을 도출해 낼 수도 있지만, 가장 중요한 것이 인구와 세대의 이동이므로 항상 확인하는 것을 게을리하지 말아야 합니다.
투자를 위한 계획을 세울 때 미리 2년 후 공급물량을 확인하여 입주 기간을 피하고 전세계약을 하거나 역전세 대비 자금을 마련해 두어 자금이 비는 상황이 오지 않게 대비해야 합니다.
가장 중요한 것은 마음가짐입니다. 내가 실전 투자자이자 한 회 사의 수장으로 재직 중이라 생각하고 전문가스럽게 투자를 진행해 본다면 마인드세팅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.
'돈버는방법 > 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파트 경매 방법 :: 사이트 무료 추천 (0) | 2023.08.23 |
---|---|
시골집 매매 방법 :: 전원 주택, 빈집, 사이트 소개 (0) | 2023.08.20 |
부동산 법원 경매 공부 :: 검색 및 조회 사이트 추천 (0) | 2023.08.13 |
kb 부동산 가격 시세 조회 확인 방법 (0) | 2023.08.09 |
천안 불당동 아파트 시세(매매가 대비 전세가) (0) | 2023.08.06 |